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계절에 따라서 타이어 공기압 조절을 해줘야 하는 이유
    알아두면 좋은 생활꿀팁 2021. 7. 29. 00:01
    반응형

    최근 언 2주일 간 굉장히 더운 날씨가 지속되면서 매일매일 몸이 축 쳐지는 느낌이 듭니다. 오늘은 우리가 매일매일 출퇴근에 사용하는 자동차의 타이어와 관련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팁을 전달하려고 하는데요, 귀찮다고 거른다면 예상치 못하게 큰 교통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니, 이 글 참고해서 꼭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했으면 좋겠습니다.

     

     

     

    1) 계절별 타이어 결함으로 인한 교통사고

    • 여름 - 지금처럼 무더운 땡볕더위가 지속되는 여름철의 경우 강한 열기로 인해서 도로가 뜨겁게 달궈집니다. 도로가 뜨거워지면 우리가 자동차를 운행할 때 지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되는 타이어가 고무 재질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말랑말랑 해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타이어가 말랑말랑해지면 무거운 자동차의 무게를 버티지 못하고 결국 펑크가 나면서 중심을 잃게 되어 도로 한복판에서 360도로 몇 바퀴 회전하게 되면 생각하기도 싫은 대형 교통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겨울 - 겨울의 경우 외부 온도로 인해서 특별히 타이어에 발생하는 문제는 없습니다. 하지만 겨울엔 낮은 온도로 인해서 블랙아이스가 생성되어 길이 매우 미끄럽습니다. 이렇게 길이 미끄러운 경우 주행 중에 브레이크를 밟으면 자동차 타이어가 미끄러지면서 제동이 잘 되지 않습니다.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타이어의 공기압을 줄여서 지면과 닿는 접촉 부분을 최대한 넓게 만들어 제동력을 높여주는 방법이 있습니다. 만약 타이어의 공기압이 높아서 지면과 접촉되는 면적이 좁아진다면 계산한 대로 자동차가 멈춰지지 않고 미끄러지면서 교통사고를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겨울철-타이어-자국

     

    2) 타이어 공기압 확인하는 방법

    자동차 타이어의 적정 공기압을 정확하게 확인하기 위해서는 공기압 측정기가 있으면 가장 최선이겠지만, 일반인들이 보통 공기압 측정기를 소지하고 다니지 않기 때문에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이 최선인데요, 육안으로만 확인하더라도 비교적 확실하게 확인이 가능합니다. 우선 시동을 켜기 전에 자동차 트렁크 부분을 정면에서 바라봤을 때 타이어와 바닥이 닿는 부분이 양쪽으로 볼록하게 나와있는 모습이 발견된다면 공기압이 부족한 것입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타이어 윗부분을 디딤돌처럼 밟고 올라섰을 때 탱탱한 느낌보다 말랑말랑한 느낌이 느껴진다면 마찬가지로 타이어의 공기압이 낮은 것입니다. 타이어는 주행을 할 때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해주기 때문에 위와 같은 현상이 확인된다면 지체하지 말고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타이어 가게에 방문해서 공기압을 보충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3) 계절별 타이어 적정 공기압

    일반적으로 타이어의 적정 공기압 수치는 자동차의 종류와 바퀴의 종류에 따라서 적정 공기압 수치가 모두 다릅니다. 현재 내 자동차 타이어의 적정 공기압 수치가 궁금하다면, 타이어 옆면에 적혀있는 '숫자 psi' 확인하거나 운전석 쪽 문에 붙어있는 '자동차 제원 표'를 참고하면 확인이 가능합니다. 그럼 지금부터 계절에 따라 적정 공기압 수치는 어느 정도로 하는 것이 좋은지 알려드리겠습니다.

    • 여름 - 여름에 발생 가능한 타이어 결함인 '스탠딩 웨이브'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타이어의 공기압을 평소 공기압보다 10% 정도 높게 주입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최대 공기압이 50 psi라고 가정했을 때 일반적으로 평상시 타이어의 공기압은 80% 정도의 수치가 타이어 수명에 좋기 때문에 40 psi정도만 주입을 하지만, 여름의 경우는 이보다 10% 놓은 수치인 45 psi를 주입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 겨울 - 겨울에는 바닥이 미끄러워서 브레이크를 밟았을 때 제동거리가 길어지지 않도록 해주기 위해서 타이어의 공기압을 최대 공기압보다 20% 정도 낮게 주입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최대 공기압 수치가 50 psi라고 가정했을 때 20% 낮은 수치인 40 psi를 주입해주는 것입니다.

    짧게 정리하자면, 여름의 경우는 타이어의 공기압 수치를 평소 공기압보다 조금 높여주는 것이 좋고 겨울의 경우는 타이어의 공기압 수치를 평소 공기압보다 조금 낮춰주는 것이 타이어 결함으로 인한 교통사고를 예방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